목록분류 전체보기 (122)
tony9402
USACO를 돌면서 공부를 해보려고 한다. 최근 출제된 문제부터 풀 예정이며 실버를 풀면서 적응해 나가며 어려운 문제를 풀 예정이다. 문제를 풀면서 항상 업데이트 할 예정이다. 번호 오름차순으로 보기 번호 내림차순으로 보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w3Fs/btqDdHPwWDb/kHoKTZLURVFU4VcjJ5vZxK/img.png)
구글 코드잼을 해보았다! (풀이 공개는 대회 끝나고 했습니다.) A ~ E 총 5문제고 30점 이상이면 통과할 수 있다. 30점은 A,B를 다 맞고 C 7점을 긁으면 할 수 있다. E도 풀어보려고 했지만 히든 테케 맞추기 힘들꺼 같기도 하고 그렇다고 긁는것도 귀찮아서 안했다. A. Vestigium 행렬에서 대각선(왼쪽 위부터 오른쪽 아래)의 합을 구하고 행, 열을 보고 한 줄에 중복되는 수가 있으면 개수를 세면 된다. #include #define mp make_pair #define all(x) (x).begin(),(x).end() using namespace std; typedef pair pii; int Map[111][111]; bool visit[111][111], check[111]; in..
USACO를 돌면서 공부를 해보려고 한다. 최근 출제된 문제부터 풀 예정이며 브론즈부터 풀면서 적응해 나가며 어려운 문제를 풀 예정이다. 문제를 풀면서 항상 업데이트 할 예정이다. 번호 오름차순으로 보기 번호 내림차순으로 보기
요즘 DP를 공부하지 않았더니 잘 안풀린다. 그래서 쉬운 문제부터 다시 풀어나가면서 다시 감을 익히려고 한다. DP 공부 및 문제를 풀면서 항상 업데이트 할 예정이다.
간단한 알고리즘부터 간단히 작성할 예정이다. 설명위주보다 난 기록을 남기는 위주라 설명은 다른 블로그나 참고할 곳을 링크할꺼다. 블로그 1. kks227 순회에는 간단히 전위, 중위, 후위, 레벨 순회가 있다. 각각 영어로 preorder, inorder, postorder, level-order라 불리며 각 예제 코드는 아래와 같다. Preorder Inorder Postorder Level-order
이 글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가 될 예정입니다. 알고리즘 공부를 제대로 해보려고 한다.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들어본 적 있는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을 나열해보려고 한다. 간단한 종류로 나눈다면 아래와 같다. 문자열 수학 트리 그래프 정렬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네트워크 플로우 아래 Bar는 내가 아는 정도를 표시하는 것이다. 문자열 KMP 알고리즘 라빈카프 알고리즘 트라이(Trie) 아호코라식 접미사 배열(Suffix Array) Z 알고리즘 Hashing LCP Manacher 트리 트리 순회 이진 검색 트리 우선순위 큐 유니온 파인드 세그먼트 트리 펜윅 느리게 갱신되는 세그먼트 트리 머지소트 트리 세그먼트 트리 비츠 스플레이 Persistent Segment Tree LCA(최소 공통 조상) Heavy-Li..
Profile 숭실대학교 전자정보공학부 전자공학전공(주전공) 숭실대학교 컴퓨터학부(복수전공) Baekjoon Online Judge : tony9402 Github : tony9402 Bixby Crew 1기(Github) : BixbyCrew Interest Language C/C++ 80% Python 85% Node.js 60% html/css/js 20% Bash 40% Java 60% Interest Robot Embed System Machine Learning Bixby Crawling 이력 2021 KOI 학원 강사 Bixby Crew 2기가 주최한 Bixby Hackathon 출전 (장려상)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함께 JAVA!" 베타 리뷰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프로젝트인 DeepFak..
작년부터 시작된 Bixby Crew 활동, Bixby Capsule 개발, 알고리즘 공부 등 하는게 바빠 블로그 활동을 잘 못했는데 이제 다시 시작하려고 합니다.
내가 지금까지 해왔던 것들 중 성과가 있었던 것들을 년도별로 간단히 쭉 써보겠다. 2005년 - 석천초등학교 입학 2009년 - 로파스 1기 - IEF 2009 수원정보과학축제 (로봇 서바이벌 부분) : 2위 2010년 - 제 7회 대한민국 로봇대전 : 3위 - 제 6회 휴머노이드 로봇 댄스 경연대회 : 5위 - 국제로봇올림피아드 서울.경기.인천 예선 : 3위 - 국제로봇올림피아드 대한민국 본선 : 3위 - 국제로봇올림피아드 세계대회 : 2위, 3위 - 양영디지털고 특성화경진대회 : 금상 - 경남 고성 공룡로봇코리아 : 장려상, 기술상 - 국제로봇콘테스트 및 로보페스트 지역예선대회 : 1등 - 로보페스트 결승전 : 1등 - 2010 경기과학축전 커팅식 - 전국 학생 로봇경진대회 : 3위 - 충남첨단과학축..
이번 글은 2011년도부터 내가 뭘 했는지 쭉 써보자. - 2011년 로봇대회나 로봇을 배우기 위해선 생각보다 많은 돈이 필요했었다. 그래서 난 더 이상 로봇을 제대로 공부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래도 바로 끝내기 아쉬워 나갈 수 있는 대회들은 다 출전했던 거 같다. 2011년 7월 15일(금) ~ 30일(토) - 국제로봇올림피아드 서울.경기.인천예선전 => (종목 : 로봇댄스 중등부) 6위(장려) 본선전에 참가 가능은 했지만 출전을 포기했다. 2011년 11월 12일(토) - 고양시 청소년 과학 로봇 경진대회 => (종목 : 휴머노이드 댄스 중등부) 3위 => (작년에 같이 대회 나갔던 팀원이 나한테 아무런 말 없이 나랑 같이 했던 소스를 그대로 가지고 출전해 기분이 매우 안 좋고 화났었지만.. 그 당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