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22)
tony9402
내가 어릴 적부터 해왔던걸 한번 쭉 써봐야겠다. - 2008년 2008년도에 부천 로보파크에서 무료 강의로 회로 교육이 있었다. 뭐 배웠는지는 다 기억이 나지는 않지만, 가장 기본적인 이론과 LED 불 켜기, CdS 센서를 이용해서 LED 밝기 조절와 같은 간단한 회로에 대해 이론과 직접 실습을 했던 걸로 기억한다. 그 당시 썼던 부품 이름은 아마 Neo School 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그때 사용했던 부품들이 집에 있다. 이때 회로를 배우고 관심이 많아져 친척동생 집에 스냅블럭이 있길래 맨날 그거 가지고 놀았었다. - 2009년 그 교육이 끝난 후 면접(?, 면접은 아니고 간단한 질문을 했던거 같기도 하다.)을 본 후 몇 명을 선발하여 한층 업그레이드된 수업을 듣는 게 있었다. 거기서 배틀 키즈 K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YEqF/btquGFmwjEO/qEk6GMKldKtIjeoK7qlP30/img.jpg)
이번 SW 마에스트로 10기에 지원했었는데 아쉽게도 면접에서 어필을 잘 하지 못해 떨어진 것 같다. ㅠㅠ 이번 계기로 한번 블로그에 내가 해왔던 활동을 간단히 기록해놓고 앞으로 할 것들을 블로그에 기록을 남겨보려고 한다.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를 하려고 하고 있던 일도 면접 보기 전에 그만뒀는데 ㅠㅠㅠ
문제 : 별 찍기 - 11 이번에는 재귀, memcpy, memset, 배열을 안쓰고 오로지 반복문와 if문(삼항 연산자 포함)으로만 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겠다.좀있다 나올 규칙은 비트 연산 이외에 수학적인 계산으로 발견한 것이 아닌 우연히 발견한 것이다. 먼저, 띄어쓰기의 개수를 파악해보자. 아주 작은 삼각형에서 별이 3개씩 찍히므로 높이는 n / 3이다. 아래 경우에는 n이 24일 때를 보는 것이므로 높이는 24 / 3인 8이 된다. 높이가 1일땐 띄어쓰기의 개수는 n - h(h는 높이)이다. 그 다음은 작은 삼각형이 찍히는 부분과 그 사이에서 띄어쓰기를 하는 규칙을 찾아야한다. 이를 찾으려고 하기엔 너무 어렵긴 하다. 2차원 표에서 0부터 8까지의 각각 & (AND) 연산 한 결과를 표에다가 작..
문제 : 별찍기 - 11 이전 포스트에 규칙을 찾아 분할정복(재귀)로 푸는 방법을 해설했었다.이번엔 반복문 + memcpy를 이용해서 풀이를 해보겠다. 아주 작은 케이스를 계속 찍듯이 반복하면 된다. 1. 아주 작은 케이스의 별을 먼저 찍는다. 2. 그 다음의 크기의 별을 만들기 위해서 규칙을 찾아 해당하는 위치에 copy and paste를 한다. 3. 그 다음의 크기의 별을 만들었다면 그 별을 복사한다. 4. 똑같은 규칙으로 3번에서 복사한 별을 찍어나간다. 이를 원하는 크기의 별을 찍을때까지 반복하면 완성이다. 이러한 규칙을 가지고 문제를 풀면 아래와 같이 된다. chogahui05님이 memcpy, memset을 이용해서 풀었다는 얘기를 듣고 한번 규칙을 찾아 소스를 만들어 보았다. 자세한 설명은..
문제 : 별찍기-11 문제 유형 : 분할 정복, 구현 별 찍는 규칙을 잘 찾아 별을 찍으면 되는 말로는 간단한 문제이다. 구현은 매우 간단하지만 삼각형의 규칙을 찾는게 어려웠다. 일단 예제 있는 걸로 규칙을 파악해보자. n이 24일때 별의 모양은 아래와 같다. 문제를 잘 읽어보니 n은 항상 (k는 10이하의 음이 아닌 정수) 인 수가 들어온다는 조건이 있다. 이를 보고 삼각형의 높이(세로)의 길이와 밑변(가로)의 길이를 세보았다. 그랬더니 세로은 24즉 이고 가로은 (k=3)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여기서 가로에 별 5개와 띄어쓰기를 하나로 묶은 것이다.) 이제 가로를 4등분 하고 세로를 2등분 해보자. 여기서 n=24일때와 닮은 프렉탈 모양 3개가 보일 것이다. 이를 박스로 구분해보자. 맨 위에 있..
개강하고 첫 코포 한 날이였다. A. Middle of the Contest 예제를 읽고 문제를 대충 보니 두 시각이 주어지고 그 시각의 중간을 출력하면 되는 간단한 문제이다. ex) 10시하고 11시의 중간은 10시 30분 여기서 조심해야할 부분은 예제 3번처럼 2분이면 02분으로 출력해야한다. 하지만 이 처리는 매우 쉬운것으로 빠르게 처리하고 AC를 받았다. 1234567891011121314#include int main(){ int a,b,c,d; scanf("%d:%d",&a,&b); scanf("%d:%d",&c,&d); b+=a*60; d+=c*60; a=(b+d)/2/60; b=(b+d)/2%60; printf("%02d:%02d",a,b); return 0;}cs B. Preparatio..
SCCC 14일차 스터디 MST/위상정렬 MST에는 크루스칼 알고리즘, 프림 알고리즘이 있다. 프림 알고리즘은 pq를 이용한 다익스트라와 거의 비슷하니 금방 이해를 할 것이다. 크루스칼 알고리즘은 disjoint-set 을 이용한다. 아직 못 푼 문제가 많다.... (스터디때 문제들이 조금 어려웠던 문제들이 많았다.) 1. 최소 스패닝 트리 - ●●○○○2. 네트워크 연결 - ●●○○○(1번을 풀었다면 ○○○○○ - toooooo easy)3. 음악 프로그램 - ●●◐○○4. 문제집 - ●●○○○5. 줄 세우기 - ●●○○○ (4번을 풀었다면 ○○○○○ - toooooo easy)
12일차에는 스터디가 아니라 컨테스트가 진행되었다. sccc 스터디 2月 11日에 13일차 최단거리로 스터디가 진행되었다. 최단거리에는 여러가지 알고리즘이 존재한다. 1. 다익스트라 => 맨 처음에 짰을때 queue로 짰지만 priority_queue로 짜도록 노력하자..2. 벨만-포드 => 음수간선이 있을때도 사용가능3. 플로이드 => n이 충분히 작을때 사용할 수 있다.4. SPFA 1. 최단경로 - ●●○○○2. 최소비용 구하기 - ●●○○○3. 거의 최단경로 - ●●●◐○4. 네트워크 복구 - ●●◐○○5. 케빈 베이컨의 6단계 법칙 - ●◐○○○6. 플로이드 - ●◐○○○7. 저울 - ●●◐○○8. 타임머신 - ●●◐○○9. 웜홀 - ●●◐○○10. 파티 - ●●○○○
sccc 스터디 11일차 1月 29日 DFS/BFS에 대해 스터디를 진행하였다. 넓이 우선 탐색 => BFS깊이 우선 탐색 => DFS최단 거리를 구할땐 DFS로 하지 말고 BFS로 하자.... 1. DFS와 BFS - ●○○○○2. 미로 탐색 - ●◐○○○3. 숨바꼭질 - ●●○○○4. 토마토 - ●●○○○5. 단지번호붙이기 - ●○○○○6. 유기농 배추 - ●○○○○7. 경로 찾기 - ●●◐○○8. 연결 요소의 개수 - ●●○○○9. 영역 구하기 - ●◐○○○10. 로또 - ●◐○○○11. 나이트의 이동 - ●◐○○○12. 말이 되고픈 원숭이 - ●◐○○○13. 집배원 한상덕 - 아직 안품14. 상범 빌딩 - ●●●○○15. 열쇠 - ●●●●○16. 벽 부수고 이동하기2 - ●●●◐○17. 레이저 통..